비만형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의 경우 5% 이상 감량하면 증상이 호전되고 훨씬 예후가 좋습니다.
배란장애는 경구용 배란유도제(주로 클로미펜) 단독 또는 인슐린 반응개선제 (insulin sensitizer) 를 병용하여 교정할 수 있습니다. 경구용 배란유도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경우 난포를 직접 자극하는 성선자극호르몬 주사제를 사용하는데 체외수정 시술시 난자 채취 이후 ‘난소 과자극 증후군(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난소 과자극 증후군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해당 주기에 수정된 배아를 이식하지 않고 수정된 배아를 모두 냉동 보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