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난임 질환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
소중한 아이를 만나는 순간까지,
아이수는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자궁내막증이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으로 나와서 성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임기 여성의 약 10-15%에서 발생되는 흔한 질환으로, 생리를 하는 모든 연령대에서 생길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착이나 배란 장애는 난임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심한 생리통과 하복부 통증 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확진을 위해서는 직접 병변을 눈으로 관찰하거나 조직학적 검사를 진행합니다.
그 외에 질식 초음파 검사, 자기공명영상(MRI), 혈액검사(CA-125라는 혈액 검사가 정상 범위보다 수치가 증가되어 있는 경우), 복강경 수술 등이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이 임신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그 중 골반 내 유착에 의한 난관의 역할 감소 및 자궁내막종에 의한 난소기능저하가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약물요법
주로 에스트로겐의 생성을 억제하여 자궁내막증 병변의 위축을 유발하여 병변의 자극 및 출혈을 방지하는 호르몬 요법으로 일시적인 억제요법입니다.
수술요법
자궁내막증의 병변을 제거하고 자궁내막증에 의한 골반강내 유착을 제거합니다. 복강경이나 개복수술로 2-3mm 정도 되는 작은 병변까지 제거할 수 있습니다. 최대한의 자궁내막증 병변 제거술을 시행한 후, 자궁내막증 환자 개개인에 맞는 약제의 선택, 추적 수술 방법, 추적 진료 같은 장기적인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자궁내막증의 재발 및 지속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술을 통해 난임 환자의 임신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